• 강철같은 삶
    ①김승환 충북대 교수
    "우리 민족사 전체로 볼 때 단재만큼 우리민족의 정신과 영혼 바로 세우려고 노력한 분은 많지 않습니다. 또 민족의 미래를 제시해주고, 횃불 역할
  • 아나키즘은 독립운동 위한 선택
    ②박걸순 충북대 교수
    "단재 신채호 선생의 독립운동 노선은 계몽운동이었다. 신문과 잡지를 발행해 국민 계몽운동을 시작했고, 신민회 활동을 하면서 해외 망명 독립운동 기지 건설, 무장투쟁으로 변화했다.
  • 절망의 시대, 역사로 독립을 부르짖다
    ③허원 서원대 교수
    단재 신채호 선생은 대동제국사 서언에서 "국사가 있어야 국민이 애조심(조상을 사랑하는 마음), 애국심, 독립심, 진취심이 있을지라 …(중략) 차와 밥을 먹지 않더라도 국사는 없어서는 안되고, 의복을 벗을 지라
  • 독립정신 일깨운 언론인
    ④박정규 언론학자
    단재는 평생을 언론과 함께 산 언론인이었다. 그의 글에는 오로지 나라와 민족이 자리 잡고 있었고 한 치의 흔들림 없는 대의명분이 있었다.
  • 문학은 국민의 혼이자 나침반
    ⑤김주현 경북대 교수
    독립운동가나 역사학자, 언론인으로서의 단재는 진작부터 관심을 받았지만 문학 연구는 뒤늦게 출발한 측면이 있다.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72년 단재 신채호 전집이 나오면서부터. 북한에서 발간된 '룡과 룡의 대격전'이라
  • 단재 동상을 건립하다
    ⑥도종환 국회의원
    단재 신채호 선생은 무정부주의자, 사회주의자, 비타협주의자, 고집불통 등의 이미지에 둘러싸여 사후를 살았다. 선생이 복권된 것은 한국정부가 해금조치를 한 1988년 전후. 충북에서 처음 단재 선생을 기념하는 움직임이 태동한 것은 해방
    단재 연구 20년...
    ⑦최옥산 북경대외경제무역대학 교수
    1910년 4월 단재 신채호는 중국 망명길에 나선다. 1928년 대만에서 일본 경찰에게 체포된 뒤 1936년 2월 중국 다롄의 뤼순 감옥에서 옥사하기까지 26년간의 망명 생활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보냈다. 중국에서 단재는 오로지 조국 독립만을 위한 일념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뛰어난 족적
  • 칼날 같던 지성
    ⑧며느리 이덕남
    "신랑 하나 좋아서 시집 와서 보니 신채호 선생 아들이더군요. 이혼하려고 도망도 다녔지만 범상치 않은 아들에게 23살에 시집와 지금 72살이 되었네요. 은행원인 제 남편은 1991년 돌아가셨지만 잘 생기고 깨끗한 분 이었어요. 아버지 고집을 물려받았지요. 내가 돈이 없다고 하면 '마누라가 도둑놈 만든다, (은행원이) 돈
  • 표준연보 제작 절실
    ⑨김하돈 시인
    단재 신채호 선생의 국내 유적지를 답사했던 김하돈 시인은 단재 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유소년기와 청소년기를 꼽았다. '서울이나 국외 활동 시기에 비
  • 순국 80주기 어떻게 준비할까
    ⑩전문가 좌담회
    올해로 기념사업 20주년을 맞은 충북 단재문화예술제전추진위원회의 고민은 깊다. 2016년이면 근대사에서 가장 뚜렷한 족적을 남긴 단재 선생의 순국 80주기가 되지만 제대로 된 역사적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. 단재를 지역의 인물이 아닌 한국의 인물로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해마다 거듭되는 이유다. 기념사업의 전국화, 대중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.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중단됐던 '단재 영당 및 묘소 종합정비 기본계획'이 재개된다면 단재 기념사업의 새로

중부매일 기획 기사

  • 시놉시스
  • 신채호 연보
  • 신채호를 말하다